Kaiwa |
카이와
|
카이와(かいわ,
貝輪)는 패각(shell)로 만들어진 고대일본
팔찌(bracelet)로
고대인의 복식품(服飾品)의 하나이었다.
二枚貝의 경우는 중심으로부터 호리호리한 몸매가 원을 이루도록 구멍을 뚫어
사용했다. 卷貝의 경우에는 둥글게 자르고 나서 가공. 죠몽 시대에는 이타보가키, 사르보오, 벤케이가이, 야요이 시대에는 카사나이류,
스이지가이, 다케노코가이등이 주로 이용되었다.
|
Karat |
캐럿
|
약어는 Kt. 금(金, gold)의 순도(純度, purity)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24 캐럿의 금은 순금이다. 18
캐럿의 금은 18/24의 금(약 75%의 금).
14 캐럿의 금은 14/24의 금 (약 58%의
금). 12 캐럿의 금은 정확히 반이다. 10
캐럿의 금은 10/24의 금 (약 43.5%의 금)
캐럿(Karat) |
금의 비율(Percent Gold) |
24 Kt. |
100% Gold |
18 Kt. |
75% Gold |
14 Kt. |
58.3% Gold |
10 Kt. |
41.7% |
☞ Carat(캐럿) : 보석의 중량단위. 0.2g, 즉 200mg. |
Karatclad |
캐럿클래드
|
Karatclad는 아주 두꺼운 금 전기도금(gold
electroplating)공정에 대한 등록상표이다;
이 형태의 도금은 표준전기도금보다 약
14배 두껍다. |
Karu |
카루
|
1940년
설립된 모조보석류 회사인, NY, New York의 Kaufman(코미디언
Andy Kaufman의 부모인) and Ruderman
Inc.이다. 우측의 Karu 핀(pin)은 금도금
금속에 납유리(paste)와
법랑(enamel)으로
되어 있다.
|
Keeper ring |
고정반지
|
가치있는 반지를 손가락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그 반지 옆에
끼는 반지.
|
Kerf
|
커프
|
다이어먼드(diamond)를
벽개(劈開, cleavage)할
때에 정을 대고 치기 위하여 미리 자국을
내는 작은 흠(欠).
다이어먼드의
연마가공 순서 :
절단(sawing)
=> 벽개(cleaving)
=> 원형화(bruiting,
girdling) => 광택(polishing)
|
Keystone cut |
쐐기형 연마가공
(키스톤 커트)
|
쐐기형상으로 연마가공한 돌. 쐐기형 연마가공(cut)은
일반적으로 계단형
연마가공(step cut)이다. 모조보석류
제조자 Schreiner는 쐐기형을 많은 작품들에
사용하고 있다. |
Kimberlite |
킴벌라이트 (각력상 운모감람암, 角礫狀雲母橄欖岩) |
초염기성암(超鹽基性岩).
다이어먼드(diamond)의 모암(母岩). South Africa의
킴벌리(Kimberley)에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다이어먼드를 함유한 각력상
운모감람암(角礫狀雲母橄欖岩)에 대하여 1887년 영국의 H.C.루이스가 명명한 것이다.
선캄브리아시대의 순장지를 따라 분포하고
있다. 다이어먼드의 채굴에는 우선 킴벌리암(~岩)를 찾는다. 광맥은 pipe모양으로
되어있어서, 일차 광상은 종종 킴벌라이트
광맥(kimberlite pipe)로
불린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주(州)에서
자이르에 걸쳐 다수의 킴벌라이트 암맥이 있고, 킴벌리, 프리토리아 지역은 다이어먼드 산지로 유명하다.
☞ 램프러아이트(lamproite)
☞ 청색지반(blue
ground) ☞ 풍화광상(weathering floor) ☞ 황색지반(yellow ground)
|
King cut |
변형 다각원형 연마가공(킹
커트)
|
대형 다이어먼드(diamond)에 사용되었던 다각원형
연마가공(brilliant cut)의 변형이다.
이 연마가공은 86 패시트(facet)들을
지니고 있다. |
Klein, Anne |
클라인, 앤
|
Anne Klein (1923-1974)는
영향이 있고 인기있는 미국 패션 디자이너(fashion
designer)이었다. Anne Klein 보석류와
단추는 Swank Inc.에서 만들었다. 1981년
이후, Anne Klein의 로고(logo)는 사각꼬리표에
사자머리를 넣은 것이다.
|
Knaat |
노트
|
Knot 라고도 한다. 다이어먼드(diamond)의 내포물의 일종이다.
다이어먼드 중에 내포되는 다이아몬드 결정(結晶)이, 연마가공이 끝난 다이어먼드의 표면에까지 달하고 있는 경우,
knaat 라고 한다. Knaat는 모결정(母結晶)과 같은 굴절률이기 때문에, 강세(relief)가 낮다.
☞ 내포물(內包物,
inclusion) ☞ 기기 사용
>>> 3. 손쉬운 보석 판별
>>> 부록 - 다이어먼드 및 유색보석들의 내포물들 - 사진모음)
|
Knoop hardness |
누프경도(硬度)
|
1939년에 고안된 경도(硬度)의 측정 기준.
다이어먼드(diamond) 침을 사용한 일련의 새김자국 실험을 통해서 20세기에 화학자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보석의 경도는 일반적으로 모스 경도(Mohs scale)로 나타내지만, 이것은 단단함의 서열을 나타낼 뿐이다.
예를
들면, 모스 경도 3 인 보석은, 경도 1인 보석에 3배 단단한 것은 아니다. 이에 비하여 누프경도는 압입(壓入) 경도 측정법의 하나로, 보다
과학적으로 경도를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면 다이어먼드의 경우, 결정면에 따라서, 혹은 동일한 결정면에서도 방향에 따라 경도가 다른
성질이 있다는 것에도 유의하여 경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성과 안정성과 함께
보석 내구성(耐久性,
durability)의 3 요소이다.
|
Knot |
노트
|
☞ Knaat |
Kramer |
크레이머
|
1943년
Louis Kramer가 설립한 고급 모조 보석류회사였다.
후에 그의 형제인 Harry와 Morris와 결합했다.
이들의 작품들 중의 일부는 Kramer라는
상표, 다른 것들은 Kramer of New York이라는
상표를 사용했다. 1950년대 중에는 Dior사를
위하여 보석류를 만들었다. 1970년대에
사업에서 철수했다. 우측의 물고기 핀(pin)은
Kramer가 만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