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pearl |
카이 퍼얼 (모조진주,
模造眞珠)
|
양식진주와
같은 핵(核, nucleus)를
이용하여 제작한 모조진주(模造眞珠). 카이(貝,
かい). 카이 퍼얼(Kai pearl), 마조카 퍼얼(Majorca pearl)은 현재 전세계의 시장에서 비교적 정교한 모조진주의 제품명이다.
☞ 진주(pearl)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30.
Pearl
|
Key
diamond
|
표준석(標準石) (키
다이어먼드)
|
표준석(標準石,
master stone), master diamond라고도
한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4.
Diamond
|
Kidney
stone
|
키드니 스톤 (연옥,
軟玉)
|
☞ 연옥(軟玉,
nephrite)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07.
Nephrite
|
Kindradite
|
킨드러다이트 (흑요석,
黑曜石)
|
미국 Oregon주 산의 흑요석(黑曜石,
obsidian). Kinradite라고도 한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28.
Obsidian
|
King
stone
|
킹 스톤 (황색 청옥,
黃色靑玉)
|
선명한 황색의 청옥(靑色,
sapphire)를 가리킨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54.
Sapphire
|
Kochenite
|
코체나이트 (화석수지,
化石樹脂)
|
AustriaTirol의 Kochenthal에서
나오는 호박(琥珀,amber)같이
생긴 화석수지이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35.
Amber
|
Koh-i-noor |
코이누어 (다이어먼드)
|
Koh-i-nur라고도 한다. Koh-i-Noor (빛의 산(Mountain of
Light)이라는 뜻)는 알려진 최대크기의 다이어먼드(diamond)들 중의 하나이다. 인도에서 발견되어
처음에는 인도 Malwa의
한 영주(Rajah)의 소유이었다(1300년대). 보석은 1500년대에
모걸황제(Mogul Sultan) Babur의 전리품으로서
Persia로 보내졌다. 언제쯤인가 인도로
다시 보내졌지만, 동인도 회사(East India
Co.)의 소유이었다가 1850년 영국의 Victoria여왕에게
헌납되었다. 이 보석은 후에 연마가공되어
브로치(brooch)에 부착되었다가 영국황실의
왕관에 부착되었다. Koh-i-noor는 영국왕관보석들의
일부로 영국 London의 Tower of London(런던탑)에
보관되어 있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4.
Diamond
|
Korean amethyst |
코리안 애미시스트 (자수정,
紫水晶)
|
한국에서 산출되는 자수정(amethyst)을
말하는 것인데, 색이 진하고 아름다우며
질이 좋은 amethyst라는 뜻이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38.
Amethyst
|
Korean jade |
코리안 제이드 (사문석,
蛇紋石)
|
사문석(蛇紋石,
serpentine)의 변종(變種), 보웬나이트(bowenite)의 오칭(誤稱).
한국에서 많이 산출된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11.
Serpentine |
Kornerupine |
코르너루핀 |
수집가들에게는
아름다운 녹색 결정(結晶)이 인기가 있다.
변채(變彩, chatoyancy)를 나타내는 묘안석(cat's
eye stone)도 유통하고 있다. 첫 발견지는 Greenland이다.
코넬 파인쥬스라고도 불린다.
- 처리 : 보고 없음
- 내산성 : 있어
- 유사석, 감별시 유의해야 할 돌 :
부석(axinite), 완화석(enstatite), 유휘석(spodumene),
투휘석(diopside)
- 보석포장용 합성석 : 없음
- 어원 : 덴마크의 과학자, Kornerup와 연관된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82.
Enstatite 86.
Kornerupine 97.
Diopside 99.
Spodumene |
Krantzite
|
크랜짜이트 (화석수지,
化石樹脂)
|
화석수지. 채집자인 Krantz박사의 이름에서
연유된 이름이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135.
Amber
|
Kunzite |
쿤자이트 (유휘석) |
쿤자이트는
투명한 분홍색, 밝은 분홍색 또는 밝은
자주색 원석으로 장미수정(rose
quartz)를 닮았다. 이것은 유휘석(spodumene)
종류이다. 쿤자이트는 햇빛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색이 바랠 수 있다. 쿤자이트는
또한 밝은 빛에 의해서 색이 바래는 경향이
있어서 "이브닝 스톤(evening stone)"이라고
한다. 일부 쿤자이트의 본래의 색은 저녁에
또는 방사조사(irradiation)에
의해서 복원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큰 돌이 사용되며 쉽게 이가
빠져서(chip) 작은 쿤자이트는 연마가공하기가
어렵다. 쿤자이트는 매단장식(pendant)으로
종종 사용된다. 쿤자이트는 1902년
미국 California Pala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보석학자 George F. Kunz의 이름이 붙여졌다.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99.
spodumene(kunzite)
|
Kyanite |
남정석(藍晶石) (카이언나이트)
|
Cyanite라고도
한다. 어원인 그리스어 kyanos가 청색을 의미하는 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매우 아름다운 청색이 될 수 있는 결정(結晶).
돌에 따라서는 녹색이 강한 돌도 있어, 청녹색의
돌도 매력적이다. 큰 패시트(facet) 연마가공석도 있지만 내구성이 좋은 보석은 아니다.
벽개(劈開, cleavage)가 있으며, 또 경도는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 낮은 방향에서는 모스 경도
5가 되지 않는다.
규선석(珪線石,
sillimanite), 홍주석(紅柱石,
andalusite)와는 동질이상(同質異像,
polymorph)이다.
- 별명 : Cyanite
- 어원 : 그리스어, kyanos(청색)
☞ 2.
원석의 종류와 특성 >>> 80.
Andalusite 83.
Sillimanite 126.
Kyanite
|
|